| |
| 37 | |
| 35 | |
| 35 | |
| 30 | |
| 25 | |
| 17 | |
| 16 |
| |
| 72 | 165 |
| 68 | 151 |
| 70 | 160 |
| 45 | 140 |
| 70 | 160 |
| 64 | 120 |
| SEX (Male=0, Female=1) |
| 1 |
| 1 |
| 0 |
| 1 |
| 0 |
| 0 |
| 1 |
| 0 |
sign은 모든 score를 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는 변인 X이 가진 N개의 모든 score,
를 모두 더한다는 의미이다. 가령
의 집합이 있을 때,
의 값은
이며, 샘플의 갯수는
이다.
은 각 subject의 score에서 1을 뺀 후에, 그 숫자를 제곱한 숫자를 구하여, 이를 모두 더한다는 뜻이다.
10점짜리 퀴즈 스코어
{8, 9, 8, 7, 10, 9, 6, 4, 9, 8, 7, 8, 10, 9, 8, 6, 9, 7, 8, 8}
N=20
| | |
| 10 | 2 | 20 |
| 9 | 5 | 45 |
| 8 | 7 | 56 |
| 7 | 3 | 21 |
| 6 | 2 | 12 |
| 5 | 0 | 0 |
| 4 | 1 | 4 |

|
| 6 |
| 2 |
| 4 |
| 3 |
| 2 |
| 3 |
| 1 |
| 5 |
| 4 |
| 3 |
| 3 |
| 5 |
| |
| 1 | 1 |
| 2 | 2 |
| 3 | 4 |
| 4 | 2 |
| 5 | 2 |
| 6 | 1 |

| |
| A | 10 |
| B | 5 |
| C | 20 |


| mode | |
| Restaurant | f |
| 김밥 | 5 |
| 라면 | 16 |
| 떡복이 | 42 |
| 탕수육 | 18 |
| 특별메뉴 | 7 |
| 오뎅 | 12 |





일때, 연구자는 3개의 샘플 구성원 중 두 개의 값을 알면, 나머지 하나의 값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지 않아도 알수 있다. 만약에 처음 두 숫자가
인 것을 알고 있다면, 연구자는 마지막 한 샘플의 숫자가
임을 알 수 있다. 즉, 처음 2개의 숫자를 제외한 마지막 숫자는 처음 두 숫자에 의해서 정해지게 되는데, 이렇게 변화할 수 있는 샘플 구성원의 숫자를 자유도라고 한다.
샘플의 총 갯수
은 위에서 사용된 sample의
와
에서 사용된
과 같다. 따라서, variance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SS | ||
| X | | (X-mu)^2 |
| 1 | -5 | 25 |
| 9 | +3 | 9 |
| 5 | -1 | 1 |
| 8 | +2 | 4 |
| 7 | +1 | 1 |
| ||


이고
의 분포를 갖는 sample이라는 단서로 연구자는 실제 개개의 sample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을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거꾸로도 마찬가지이다. 연구자는 sample의 특성을 나타낼 때,
값과
값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을 관례로 한다. | Type of cartoon | ||
| Violent | Control | |
| Male | M=15.72 | M=6.94 |
| SD=4.43 | SD=2.26 | |
| Female | M=3.47 | M=2.61 |
| SD=1.12 | SD=0.98 | |
| X | Y |
| 34 | 26 |
| 35 | 10 |
| 36 | 57 |
| 35 | 37 |

10, 7, 6, 10, 6, 15우선,

| X | | |
| 10 | 1 | 1 |
| 7 | -2 | 4 |
| 6 | -3 | 9 |
| 10 | 1 | 1 |
| 6 | 3 | 9 |
| 15 | 6 | 3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