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eongsoo, L. (2010). Social Network Approach for Sharing Knowledge. <How Ca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upport for Sharing Knowledge?>.
정보관리학회지, 27(2), 61-74.
http://uci.or.kr/G300-jX1467984.v27n2p61
^ 고상민, 황보환, & 지용구. (2010).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1), 103-118.
http://uci.or.kr/G300-jX1369157.v15n1p103
^ 고정완, 김수철, & 김성권. (2010).
인플루엔셜을 활용한 친구추천시스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48286
^ 곽해운, 이창현, 박호성, & 문수복. (2011).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전파의 관점.
언론정보연구, 48(1), 87-113.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01543
^ 금혜성. (2011).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보, 10(2), 189-22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98059
^ 김동윤. (2010).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 접근의 한 방향. __인문콘텐츠(19), 417-44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66261
^ 김영기. (2011). 정보기술의 진화와 인간관계망의 변화: 트위터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6, 165-184.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52867 정보기술의 진화와 인간관계망의 변화 . . . . Trash . . . .
^ 류정호, & 이동훈. (2011). 소셜 미디어로서 마이크로 블로그 공론장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네트워크 동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4), 309-33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76180
^ 박종은, 권오진, 이홍창, & 이명준. (2011).
트위터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그룹 채팅 시스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80145
^ 박지혜, 김보현, 이명준, & 권영근. (2010).
TwitNet : 트위터 사용자들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Cytoscape 플러그인 개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uci.or.kr/G300-cX1472735.v37n1p316
^ 심홍진, 김용찬, 손해영, & 임지영. (201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4), 82-13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69686
^ 심홍진, & 황유선. (2010).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microblogging service)와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트위터 초기사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5), 327-347.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43670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 유승호, 김형일, & 장예빛. (2010).
인터넷미디어, 욕망의 투영망.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1001
^ 윤택영, & 홍도원.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연락정보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개인 프로필 관리 시스템 연구.
ProfileManagementSystemForContactInformationPrivacyInSocialNetworkService.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5), 141-14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709256
이경민, 남궁현, 김응희, 이강용, & 김홍기. (2011).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among SNS users).
(2), 113-122.
이미나, & 김옥현. (2011).
(Mind-set): 메시지 재전송자의 역할 인식과 효과에 대한 연구.
(4), 331-357.
^ 이수영, & 내가영. (2011).
마이크로블로그이용자의능동성에관한탐색적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__방송통신연구, 171-20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7284
^ 이원재. (2010).
연결망의 시간적 변화를 검증하는 방법 - 한국 초등학생, 한국 트위터 사용자, 그리고 네덜란드 중학생의 사회 관계 변화 분석.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0977
^ 이은주. (2011).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트위터.
향후연구의방향과과제.
언론정보연구, 48(1), 29-5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01541
^ 이종문. (2011).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SNS 활용 실태 분석 연구: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75-9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94523
^ 조형국, & 김화성. (2011).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에 관한 연구: 트위터 현상에 대한 미디어 문화론적 읽기를 바탕으로.
존재론 연구, 26, 343-36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707892
^ 진창현, & 여현철. (2011). 소셜 미디어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사회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3), 1295-1321.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80443
^ 최진호, & 한동섭. (2011). 정치인 트위터와 신문ㆍ방송뉴스의 의제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gendas between Politicians' Twitters and traditional News Media).
언론과학연구, 11(2), 501-53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57228
^ 황유선, & 심홍진. (2010).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보, 24(6), 365-404.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63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