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PageProject~SocialNetworkStudiesEstimatedStandardDeviation AjouWebResearchquestionnaire

Difference between r1.89 and the current

@@ -1,141 +1 @@
* 입학처 웹사이트 연구를 위한 설문문항을 만들기 위한 페이지입니다. 필요한 문항들을 적어주세요.
== 연구 배경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뉴미디어의 등장, 특히 모바일과 웹의 발전으로인해 기존에 별개로 존재하던 정보 기술, 미디어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이루었으며 이로인해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모습은 크게 변했다. 또한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국내의 미투데이(Me2day),싸이월드(Cyworld)와 같은 다양한 쇼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성장과 닷컴버블 이후 등장한 '웹2.0'이란 흐름은 일반 대중들이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게 만들었다. 이와같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정보의 접근, 배포를 손쉽게 만들었으며 미디어 콘텐츠는 더 이상 하나의 플랫폼에 국한되지 않게되었다. 결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인해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처리하는 사회적 능력과 현실을 지각하고 구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게되었다 (이동후, 2009).
attachment:social_media.jpg,align=center
== 연구 필요성 ==
각 대학들은 학생 유치에 있어서 치열한 경쟁시대로 돌입했으며 대학 홈페이지는 홍보활용의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커졌지만 입시전형에 대한 홍보와 학생 유치의 역할에 있어서 입학사정센터/입학처의 홈페이지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평가고 전략을 계발하기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고3학생들의 대학선택 의사결정과정 및 매체이용 패턴에 대한 이해와 타 대학 입학관련 웹사이트 운영 실태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본교의 입학사정센터와 입학처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사이트 활용 전략을 제시할 지표가 필요한다고 판단한다.
== 연구 목적 ==
‘고교생의 대학선택 의사결정과정 및 매체이용패턴의 이해’ 조사와 ‘국내외 대학의 입학사정센터 및 입학처 웹사이트/홈페이지 구축 현황 및 이를 이용한 홍보전략 실태 분석’을 통한 아주대학교 입학사정센터/입학처 웹사이트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합 홍보전략’개발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연구 문제 ==
본 연구에서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이란 대학에 진학하기 원하는 지원자가 최종적으로 지원할 대학을 선택(choice)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정보가 필요하며 지원자는 자신이 수집한 혹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지원자가 얻게되는 정보는 대학과 관련된 정보이며 자신이 사용하고 접할 수 있는 정보원을 통해 얻게 된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골격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고등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정보와 정보원을 조사하며 더나아가 정보가 사용되는 시점과 정보와 정보원(information sources)의 관계를 통해 이것들이 대학 선택에 주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대학선택에 있어서 일렬의 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각 경로에 대한 의존(media dependency)은 학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예상한다. 즉 의사결정단계별 학생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되는 정보와 이 정보를 얻게되는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입학처 웹사이트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즉 누구에게 어떤 시기에 어떤 매체를 통해 사용되는지 파악하여 대상에 맞춰진 정보를 적합한 미디어에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문제''':: 고등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정보와 정보원을 조사하며 더나아가 정보가 사용되는 시점과 정보와 정보원의 관계를 통해 이것들이 대학 선택에 주는 영향력을 알아본다.
'''연구질문''':: 대학관련 정보는 무엇이 있는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정보는 무엇인가?
지원자가 정보를 얻게되는 정보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원자가 대학관련 정보는 어떤 정보원을 통해 얻는가?
정보원에따라 얻는 정보의 종류와 특성, 빈도와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가?
정보원은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정보원은 지원자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가?
대학관련 정보는 어느 시기부터 수집하기 시작하는가?
대학관련 정보중 지원자가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정보는 무엇이고 그것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대학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할 때, 기점으로 삼는(인지하고 있는) 대학은 무엇인가? 이러한 대학을 인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수집 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대학은 없는가? 이러한 대학은 어떤 특성 때문에 추가되는가?
정보수집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는 대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원자가 대안적인 대학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의사결정을 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attachment:model2.png,width=600
== 개념 정리 ==
'''Monetary Factors''':: 재정지원(장학금, 대출, 기타 프로그램)
학비
국공립/사립
'''Non-Monetary Factors''':: 학교 명성, 평판
졸업 후 직업에 대한 전망
교수의 명성
학생당 교수비율
교육환경
학교 규모
취업률
학교 전망
학문적 업적
학위의 다양성
학교 위치
'''Information Sources''':: '''Knowledgeable other'''
가족(부모, 형제)
친구
친척
졸업생
주변 지인
담임 교사
상담 교사
입시 상담가
'''Mass Media'''
TV
라디오
신문
'''Web-based Media'''
포털
커뮤니티
진학 관련 사이트
학교 홈페이지
'''Etc.'''
입시학원 자료
대학 홍보물
'''지원자의 특성''':: 가족의 수입
부모님의 학력
부모님의 직업
성별
자연계/인문계/실업계
학업성취도, 능력
거주지역
== 추진 계획 ==
== 기대 성과 ==
지금까지의 대학의 웹사이트에 관한 연구는 웹사이트의 자체의 요소에 관한 연구들은 많았지만 대학 진학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의사결정과정을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은 부족했다. 본 연구는 고교생의 대학선택의 의사결정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매체이용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각 의사결정 단계마다 적절한 정보를 적절한 시점에 적합한 매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함께 사용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정보 디자인은 입학사정센터/입학처의 웹사이트 사용성을 높임으로써 학교 홍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의사결정단계를 고려한 홍보 전략은 불필요한 인력 사용과 예산 낭비를 막는 동시에 경쟁 학교와의 차별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외국 대학의 사례 ==
*YouTube
[http://www.youtube.com/user/usc?blend=1&ob=4&rclk=cti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
[http://www.youtube.com/user/stanforduniversity?blend=2&ob=4&rclk=cti Stanford University]
*Twitter
[http://twitter.com/sTanford Stanford University]
*Facebook
[http://www.facebook.com/stanford Stanford University]
attachment:SFU2.jpg,width=800
attachment:twSFU.jpg,width=800
attachment:fbSFU.jpg,width=800
== 참고문헌 ==
성민식,조정식. 대학 선택 과정에서의 매체 이용 분석을 통한 대학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방안: 서울 소재 사립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2호.
이동후. (2009). 융합 미디어 환경, 트랜스리터러시, 그리고 디지털 주체의 양가성: 한국방송학회.
Chapman, D. W. (1981).[[Attachment("A Model of Student College Choice.pdf")]], 52(5), 490-505.
DesJardins, S. L., Dundar, H., & Hendel, D. D. (1999). [[Attachment("Modeling the College Application Decision Process in a Land-Grant University.pdf")]].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8(1), 117-132.
Griffith, A., & Rask, K. (2007). [[Attachment("The influence of the US News and World Report collegiate rankings on the matriculation decision of high-ability students.pdf")]]: 1995-2004.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6(2), 244-255.
Moore, R. L., Studenmund, A. H., & Slobko, T. (1991). [[Attachment("The effect of the financial aid package on the choice of a selective college.pdf")]].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0(4), 311-321.
Newell, S. J., Titus, P. A., & West, J. S. (1996). [[Attachment("Investigating the Undergraduate Student Decision-Making Process of Selecting a Business Specialization.pdf")]]: A Comparison of Marketing and Nonmarketing Business Student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18(3), 57-67.
Raposo, M. A., Helena. (2007). A model of university choice: an exploratory approach. University Library of Munich, Germany.
Hossler, D. G., Karen S. (1987). Studying Student College Choice: A Three-Phase Model and th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College and University, 2(3), 207-221.
Randall G. Chapman (1986), "TOWARD A THEORY OF COLLEGE SELECTION: A MODEL OF COLLEGE SEARCH AND CHOICE BEHAVIOR", i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13, eds. Richard J. Lutz, Provo, UT :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ages: 246-250.[http://www.acrwebsite.org/volumes/display.asp?id=6497]
== 부록 ==
=== 설문구성 ===
==== 지원자의 특성 ====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남/여
1. 다음 중 본인이 속해있는 계열은 무엇입니까? 실업계/인문계/자연계/예체능계/기타
1. 지금 어디서 거주하고 있습니까?
1. 가족의 수입은 어느정도 되십니까?
1. 부모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1. 부모님의 최종학력은 무엇입니까? 중졸미만/중졸/고졸/대졸/대학원졸
1. 본인의 학업 능력은 어느정도라 생각하십니까? 상/중상/중/중하/하
==== 대학관련 정보와 정보원 ====
1. 목표하는 대학이 있습니까? 있다면 대학의 이름을 적어주세요. 없다면 가고싶은 대학을 적어주세요.
1. 목표하는 대학을 정한 시점은 언제입니까?
1. 목표하는 대학을 선정할 때 중요하게 생각한 대학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1. 목표하는 대학에 관한 정보를 직접 찾아본 경험이 있습니까?
1. 목표하는 대학에 관한 정보를 주로 접하게 되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1. 각 경로에서 주로 접하게 되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그 정보가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
1. (대학관련 정보를 나열한 후) 다음 정보를 어떤 경로로 얻을 때 본인에게 가장 유용하다고 생하십니까? (순위매기기)
1. (대학관련 정보를 나열한 후) 다음 정보를 어떤 경로로 얻을 때 본인이 가장 신뢰할 만하다고 느끼십니까? (순위매기기)
1. (대학관련 정보를 나열한 후) 다음 정보를 어떤 경로로 얻을 때 본인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순위매기기)
1. 대학에 관한 정보를 알아가면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1. 접하는 정보 중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1. 본인이 생각하기에 대학에 관한 정보 중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1. 대학 관련 정보는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1. 목표대학(choice set) 안에서 대학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redirect AjouWebResearchQuestionnair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2-05-08 14:46:08
Processing time 0.0183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