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관계 데이터 | |||
| 사람 | X | Y | ![]() Figure 1. [PNG image (8.73 KB)] |
| A | 1 | 1 | |
| B | 1 | 3 | |
| C | 3 | 2 | |
| D | 4 | 5 | |
| E | 6 | 4 | |
| F | 7 | 5 | |
| G | 8 | 7 | |
![]() Figure 1-1. [PNG image (15.95 KB)] | ![]() Figure 1-2. [PNG image (15.75 KB)] |
![]() Figure 2-1. [PNG image (17.08 KB)] | ![]() Figure 2-2. [PNG image (17.21 KB)] |
![]() Figure_4-1. [PNG image (9.11 KB)] | ![]() Figure 4-2. [PNG image (9.6 KB)] |
![]() Figure_4-3. [PNG image (6.49 KB)] | ![]() Figure 4-4. [PNG image (11.4 KB)] |
와 VarX, Var[Y}에 공히 들어가는 분모는 n-1 (degrees of freedom)이기 때문이다.
)과 Y 전체 변량(분산)의 비율을
이라고 하는데 이는 r 값을 제곱하여 구한다. 반대로, X와 겹치지 않는 변량과 전체 변량의 비율은 (
)으로 표현한다.
이라고 할 때, 우리가 관심이 있는 것은 어떤 한 케이스의 X가 변화할 때, 해당 케이스의 y값이 어떻게 (동시에) 변화하는가이므로, 이 상황에 맞는 deviation score는
라고 할 수 있다. 이에 degress of freedom에 해당하는
로 나누어 준 값을 X,Y에 대한 Covariance라고 하며,
라고 표기한다. 즉, 
| Example | ||||
| Scores | Deviation score | Products | ||
| X | Y | | | |
| 1 | 3 | -2 | -2 | +4 |
| 2 | 6 | -1 | +1 | -1 |
| 4 | 4 | +1 | -1 | -1 |
| 5 | 7 | +2 | +2 | +4 |
+6 = | ||||
의 공식을 사용하여 구한 예이다. 반면에,
의 공식을 사용하면,
으로 똑같은 결과를 갖는다. 위는 Sum of Products (SP) 의 값을 구한 것이고
와
값을 구해 보면:
| Example | ||||
| X | Y | XY | X2 | Y2 |
| 1 | 3 | 3 | 1 | 9 |
| 2 | 6 | 12 | 4 | 36 |
| 4 | 4 | 16 | 16 | 16 |
| 5 | 7 | 35 | 25 | 49 |
12 | 20 | 66 | 46 | 110 |
| Example 2 | ||
| X | Y | ![]() Figure 5. [PNG image (4.45 KB)] |
| 0 | 1 | |
| 10 | 3 | |
| 4 | 1 | |
| 8 | 2 | |
| 8 | 3 | |
| Example 2 | ||||||||
| Scores | Deviation score | Deviation score2 | Products | |||||
| X | Y | X2 | Y2 | | | | | |
| 0 | 1 | 0 | 1 | -6 | -1 | 36 | 1 | 6 |
| 10 | 3 | 100 | 9 | 4 | 1 | 16 | 1 | 4 |
| 4 | 1 | 16 | 2 | -2 | -1 | 4 | 1 | 2 |
| 8 | 2 | 64 | 4 | 2 | 0 | 4 | 0 | 0 |
| 8 | 3 | 64 | 9 | 2 | 1 | 4 | 1 | 2 |
| t = 30 | 10 | 234 | 24 | SSX = 64 | SSY = 4 | SP = 14 | ||
= 6 | 2 | |||||||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인의 교육양과 (년도수) 연수입 (원)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r = +.65, n = 30, p < .01).
연수입, 교육량, 나이, 그리고 지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n=30).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정리한 결과를 요약한 표1에 나타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표에 정리되었다.
| TABLE 1. | |||
| Correlation matrix for income, amount of education, age, and IQ | |||
| Education | Age | IQ | |
| Income | +.65** | +.41** | +.27 |
| Education | +.11 | +.38* | |
| Age | -.02 | ||
| n=30 * p < .05, two tails ** p < .01, twotails | |||
| Scores | ||
| Person | X | Y |
| A | 4 | 9 |
| B | 2 | 2 |
| C | 10 | 10 |
| D | 3 | 8 |
| Scores | ||
| Person | X | Y |
| A | 3 | 3 |
| B | 1 | 1 |
| C | 4 | 4 |
| D | 2 | 2 |


| 원 데이터 | 순위 | ||||
| X | Y | X | Y | XY | |
| 3 | 12 | 1 | 5 | 5 | |
| 4 | 5 | 2 | 3 | 6 | |
| 5 | 6 | 3 | 4 | 12 | |
| 10 | 4 | 4 | 2 | 8 | |
| 13 | 3 | 5 | 1 | 5 | |
| | | | ||||

correlation part 1(http://faculty.vassar.edu/lowry/ch3pt1.html)
correlation part 2(http://faculty.vassar.edu/lowry/ch3pt2.html)
correlation part 3(http://faculty.vassar.edu/lowry/ch3pt3.html)
correlation, partial(http://faculty.vassar.edu/lowry/ch3a.html)
correlation, rank ordered(http://faculty.vassar.edu/lowry/ch3b.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