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Page Web2.0

1. Web2.0

관련문서

  • [http]What's Web 2.0?
  • [http]Web 2.0이란 무엇인가 : 다음 세대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자인 패턴 및 비즈니스 모델(1)
  • [http]Web 2.0이란 무엇인가 : 다음 세대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자인 패턴 및 비즈니스 모델(2)
  • [http]Web 2.0이란 무엇인가 : 다음 세대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자인 패턴 및 비즈니스 모델(3)

  • Web2.0

    A good start to understand Web 2.0 concept is O'Relily's article which can be found [http]here. O'Reily 혹은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이지만 Web2.0은 한 줄의 정의보다는 서비스의 구현을 모아서 표현하는 방식을 쓴다. 이는 다분히 Web2.0이 특정한 기술에 의해서 구현된다기 보다는 일종의 기술구현의 방향 혹은 지표에 의해서 실시되기 때문이다. O'Reily에 의하면 Web 1.0과 Web2.0의 서비스 차이는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O'Reily [1]).

    Web 1.0  	   			Web 2.0
    DoubleClick 			--> 	Google AdSense
    Ofoto 				-->	Flickr
    Akamai 				--> 	BitTorrent
    mp3.com 			--> 	Napster
    Britannica Online 		--> 	Wikipedia
    personal websites 		--> 	blogging
    evite 				--> 	upcoming.org and EVDB
    domain name speculation 	--> 	search engine optimization
    page views 			--> 	cost per click
    screen scraping 		--> 	web services
    publishing 			--> 	participation
    content management systems 	--> 	wikis
    directories (taxonomy) 		--> 	tagging ("folksonomy")
    stickiness 			--> 	syndication
    
    이와 같은 서비스 기술구현의 현상을 나열하는 방법은 O'Relily가 지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모르면서 아는척하는" 현상을 불러일으켜 마케팅 수단으로의 현혹으로 사용되고는 한다.

    크게 살펴보아서, Web2.0이라 일컬어지는 서비스들의 특징과 관련된 서비스는
    • 사용자의 참여로 생기는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
      • Social network services
      • Wiki knowledge management
      • Social bookmarking services
      • Collaborative filtering
    • 서비스 간의 융합으로 생기는 집단적 발전 혹은 성장
      • Mashup 을 이용한 파생 서비스 산업 성장
      • blog 간의 서치엔진을 통한 서비스
    • 롱테일 마케팅 (차별화된 타겟 서비스)
      • 필요한 사람에게만 전달되는 광고
      • RSS를 이용한 재단된, 개인화된 포탈
      • RSS를 이용한 blog 간의 커뮤니케이션
    • 인터넷을 이용한 데스크 탑 서비스화 <-- 웹 +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1.1. Mashups

    Mashups은 원래 음악 용어로 두 가지 트랙의 음악을 섞어서 하나의 음악으로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웹2.0과 관련된 의미에서의 Mashup은 웹상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서비스나 정보를 융합하여 새로운 종류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지도 서비스가 부동산 정보와 융합되어 새로운 종류의 부동산 서비스가 생성되는 것이 그 에이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한 쪽의 정보나 서비스 체계가 공개되어야 하는데, Google과 같은 회사는 A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API)를 공개하여 이를 부분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성공적인 서비스가 탄생된 예로는 craiglist가 있다. 아래의 politicalbase.com의 서비스 또한 구글의 정보와 정치 성금의 정보를 융합하여 새로운 정보를 visuali하게 보여주는 예이다 (Craigslist (http://www.housingmaps.com/) 참조).

    PoliticalBase-GoogleMapMashup.png
    Mashup_example 1 [PNG image (274.6 KB)]

    PoliticalBase-GoogleMapMashup2.png
    Mashup_example 2 [PNG image (501.49 KB)]



    2. RSS reading

    RSS란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업데이트 된 콘텐트를 xls 기술을 기반으로 간단하게 알리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는 주로 뉴스사이트나 블로그 등의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한다. 블로거나 뉴스 사이트는 rss 기술을 적용해 두고 그 url을 공개하면 (rss feed라고 한다) 사용자는 이 feed를 이용해 업데이트 된 내용을 알게된다. 이전까지는 관심이 있는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업데이트 되어 있는가를 알려면 그 사이트에 직접 방문을 해야 했으나, rss 테크놀로지는 사용자가 업데이트 된 콘텐츠의 일부 (혹은 전부) 만을 구독할 수 있으므로 rss를 이용해서는 다수 사이트의 최신 콘텐츠 일부를 일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RSS 구독만을 위해서 rss reader를 설치 (install based) 혹은 서비스를 사용 (service based) 할 수도 있으나, 흔히 Portal service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두는 뉴스나 블로그 혹은 출판 내용을 구독한다.

    2.1. Install based

    2.2. Service based

    3. Social Networking Service

    4. Social Bookmarking Service

    사용자들은 특정 주제에 관해서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사이트를 방문하려고 한다. 전통적인 웹서치엔진가 서치 알고리듬을 역이용한 사이트에 의해서 이용당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서 인정된 사이트는 그런 위험이 적다. 이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사용자 개인의 북마크 기록을 한 곳에 몰아 기록하도록 그리고 그 사이트에 대한 주제어를 정해두도록 하고, 이를 사용자들 간에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http]delicio.us 사이트가 있다.

    5. Knowledge Sharing

    • 전통적인 게시판의 단점은 내가 쓴 글은 내게 귀속된다는 점이다. 즉, 다른 사용자들이 댓글을 달을 수는 있어도 내가 쓴 글을 고칠 수는 없다. 만약에 내가 쓴 글을 고칠 수 있다면, 잘못된 내용을 고치거나,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는 등으로 더 나은 내용을 만들어 갈 수 있다면 어떨까? 라는 생각에 출반한 대표적인 움직임이 [http]WikiWikiWeb라는 테크놀로지이다. 아이디어의 공유, 협업, 의사결정 등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큰 반향을 일으켜서 완성된 사이트로는 [http]Wikipedia가 있다.


    6. Personalized Portal Service

    관련 글:

    7. Blogging

    블로그란 Web + Log 의 두 단어의 합성어로 웹을 이용하여 일기나 기록을 남긴다는 뜻에서 시작되었다. 블로그는 90년대에 소개되어 천천히 발전하다가 200년대에 들어 급격하게 사용자들에게 수용되었다. 블로그의 내용은 personal한 것일 수도 상업적인 것일 수도 있으나, 이

    7.1. Meta Blog

    7.2. Install based

    7.3. Service based

    8. Some others


    8.1. Collaboration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2-05-08 14:46:57
    Processing time 0.0138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