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Page UnobtrusiveResearch

1. Content analysis

Barbie (2002)는 "기록된 휴먼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것"을 content analysis라고 정의한다. 즉, "communication artefacts를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는 웹페이지, 잡지, 책, 역사서, 시, 신문, 노래, 회화, 연설, 편지, 이메일 메세지, 게시판 메세지, 등등을 들 수 있다.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의 흔적을 좇아서 연구하는 것이므로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잘 어울리는 연구방법 분야라고도 하겠다. 가령, 일본과 한국간의 공식적인 서신을 연구하여, 역사적으로 독도라는 섬이 언제부터 일본의 관심을 끌게 되었는가를 연구해 볼 수 있다.

가장 요긴하고 많이 쓰이는 분석 방법은 mass media의 내용분석을 하는 것이 있다. 가령, television의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분야에서 당연히 지나야할 연구 방법이 television contents의 폭력성을 측정(measure)하는 것이다.

Agendar setting의 이론도 거슬러 올라가 보면, 매체의 내용(신문과 지역 방송)에서 중요하다고 하는 사안들과 지역주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안을 비교 분석한 것이므로, 전자는 내용 분석을 후자는 주민을 서베이 한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M. McCombs과 Donald L. Shaw는 Chapel-Hill이라는 지역에서 5개의 신문, 2개의 뉴스잡지, 2개의 브로드캐스팅(방송국) 등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한 후에 15개의 범주를 추리고, 그것을 중요한 범주(중요범주)와 그렇지 않은 범주(주변범주)로 나눈 후, 이것이 지역 주민들의 생각과 일치하는 지를 상관관계를 측정함으로써 밝혀 내었다.

이전에 언급이 되었듯이 CA의 경우도, Conceptualization conceptualizationOperationalization operationalization을 거쳐서 연구에 사용된 개념, 구성 등의 의미가 명확히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가령, 15개의 범주 중에서 정치분야란 무엇을 의미하며, 미디어 내용 중에서 이것을 추출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 혹은 장치를 적용했는지를 밝혀야 한다. 주요범주와 주변범주의 구분은 어떤 뜻을 지니며, 이런 분류는 어떤 장치를 이용해서 하였는 지도 마찬가지이다 (추측으로는... (읽은 바 없음...), 기사 지면의 길이(신문의 경우), 혹은 시간 (radio, television broadcasting의 경우)를 재서 어느 기준을 넘은 것들을 중요범주, 그 외의 것들을 주변범주라고 하였을 듯 하다).

CA에 있어서 unit of analysis 는 좀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어떤 것을 살펴보는가에 따라서 자료의 내용이 달라 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연구자가 population으로 분류한 특정한 종류의 책 내용을 분석한다고 하면, 연구자가 책 자체를 unit of analysis로 할 것인지, 책의 chapter를 단위로 할 것인지, 아니면, paragraph를 택할 것인지, 아니면, 문장을 택할 것인지 등에 따라서 데이터의 내용도 달라질 뿐만 아니라, 분석의 결과도 달라질 것이다.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unit of analysis 가 정해지면, 적절한 Sampling sampling 을 하여야 한다. 가령, sentence를 분석하는 경우, 책들의 모든 sentence를 분석하는 것은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이다 (적절한 Sampling 방법에 관해서는 Sampling 섹션을 참조).

CA는 서베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서 coding이 필요하다. 연구자 자신이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보조 연구원 등을 고용하여 sample로 취한 대상을 읽고(듣고, 보고, 혹은 만지고...) 그 내용을 연구자의 목적에 맞도록 분류해야 한다. coding은 주관적인 요소가 들어갈 여지가 많으므로, 연구자는 보조원이나 coder들을 세심하게 교육시켜야 한다.

일단 coding된 데이터는 각 coder 간에 일관성이 있게 coding이 되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intercoder realiability 라고 한다.

Manifest content를 분석한다 함은, 미디어 콘텐츠의 내용 자체를 원칙에 따라서 분석하여 데이터를 취한다는 의미이다. 가령, 미디어의 콘텐츠가 얼마나 erotic한지를 측정한다고 하면, 콘텐츠 중에서 '사랑'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나왔는지를 세어 보고 이를 기록할 수 있다. Manifest content analysis는 명백하고 분명한 coding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연구자는 가끔 laten content analysis를 할 경우가 있다. 이 방법은 연구자 혹은 coder의 주관적인 사고와 판단이 많이 작용한다. 미디어의 내용이 erotic하다는 것을 '사랑'이라는 글자 수와는 상관없이 미디어 내용 중 unit of anlaysis가 함의하고 있는 뜻을 헤아려 그 erotic함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coding의 방침이 서면, Conceptualization conceptualization의 과정과 결과를 기술하고 coding category를 작성하여 문서화 한다. 이 문서는 coder를 교육하는데 사용된다 (coding instruction). 각 coder간에 주관성이 작용한다면, 올바른 coding이 될 수 없으므로, 세밀하게 coder를 교육하도록 하고, 확신을 위해서는 초기 소량의 데이터를 가지고 coding을 한 후 각 coder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절차를 거치기도 한다 (inter-coder reliability).

1.1. Links

2. Analyzing existing statistics

통계청 등의 기관에서 발행된 기존의 통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오래된 것으로는 Durkheim의 자살연구가 있다. Durkheim은 자살에 관한 통계기록을 역사적으로 분석하여, 근대사회의 자살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한 적이 있다. 종교적인 변인 (protestant vs. catholic), 성별, 나이, 경제적 여건, 문화적 발전 등등을 변인으로 하여, 자살과 이 변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였다.

3. Histroical/Comparative analysis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2-05-08 14:46:56
Processing time 0.010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