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Page Project~Twitter/References

Difference between r1.37 and the current

@@ -14,7 +14,7 @@
^ 윤택영, & 홍도원.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연락정보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개인 프로필 관리 시스템 연구. [Profile Management System for Contact Information Privacy in Social Network Service]. __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__(5), 141-14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709256
(./) 이경민, 남궁현, 김응희, 이강용, & 김홍기. (2011). [SNS 사용자간 다차원 상호관계분석]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among SNS users). __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__(2), 113-12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30237
(./) 이미나, & 김옥현. (2011). [트위터 리트윗의 마인드셋](Mind-set): 메시지 재전송자의 역할 인식과 효과에 대한 연구. __한국언론학보, 55__(4), 331-357.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76181
^ 이수영, & 내가영. (2011).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__방송통신연구, 171-20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7284
^ 이수영, & 내가영. (2011).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__방송통신연구, 171-20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7284
^ 이원재. (2010). __연결망의 시간적 변화를 검증하는 방법 - 한국 초등학생, 한국 트위터 사용자, 그리고 네덜란드 중학생의 사회 관계 변화 분석__.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0977
^ 이은주. (201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 __언론정보연구, 48__(1), 29-5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01541
^ 이종문. (2011).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SNS 활용 실태 분석 연구: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__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__(3), 75-9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94523


^ Jeongsoo, L. (2010). Social Network Approach for Sharing Knowledge. <How Ca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upport for Sharing Knowledge?>. 정보관리학회지, 27(2), 61-74. http://uci.or.kr/G300-jX1467984.v27n2p61
^ 고상민, 황보환, & 지용구. (2010).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1), 103-118. http://uci.or.kr/G300-jX1369157.v15n1p103
^ 고정완, 김수철, & 김성권. (2010). 인플루엔셜을 활용한 친구추천시스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48286
^ 곽해운, 이창현, 박호성, & 문수복. (2011).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전파의 관점. 언론정보연구, 48(1), 87-113.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01543
^ 금혜성. (2011).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보, 10(2), 189-22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98059
^ 김동윤. (2010).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 접근의 한 방향. __인문콘텐츠(19), 417-44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66261
^ 김영기. (2011). 정보기술의 진화와 인간관계망의 변화: 트위터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6, 165-184.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52867 정보기술의 진화와 인간관계망의 변화 . . . . Trash . . . .
^ 류정호, & 이동훈. (2011). 소셜 미디어로서 마이크로 블로그 공론장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네트워크 동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4), 309-33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76180
^ 박종은, 권오진, 이홍창, & 이명준. (2011). 트위터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그룹 채팅 시스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80145
^ 박지혜, 김보현, 이명준, & 권영근. (2010). TwitNet : 트위터 사용자들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Cytoscape 플러그인 개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대회. http://uci.or.kr/G300-cX1472735.v37n1p316
^ 심홍진, 김용찬, 손해영, & 임지영. (201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4), 82-13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69686
^ 심홍진, & 황유선. (2010).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microblogging service)와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트위터 초기사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5), 327-347.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43670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 유승호, 김형일, & 장예빛. (2010). 인터넷미디어, 욕망의 투영망.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1001
^ 윤택영, & 홍도원.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연락정보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개인 프로필 관리 시스템 연구. ProfileManagementSystemForContactInformationPrivacyInSocialNetworkService.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5), 141-14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709256
(./) 이경민, 남궁현, 김응희, 이강용, & 김홍기. (2011). SNS사용자간다차원상호관계분석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among SNS users).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2), 113-12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30237
(./) 이미나, & 김옥현. (2011). 트위터리트윗의마인드셋(Mind-set): 메시지 재전송자의 역할 인식과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5(4), 331-357.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76181
^ 이수영, & 내가영. (2011). 마이크로블로그이용자의능동성에관한탐색적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__방송통신연구, 171-20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7284
^ 이원재. (2010). 연결망의 시간적 변화를 검증하는 방법 - 한국 초등학생, 한국 트위터 사용자, 그리고 네덜란드 중학생의 사회 관계 변화 분석.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70977
^ 이은주. (2011). 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트위터. 후연구의방향과과제. 언론정보연구, 48(1), 29-5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01541
^ 이종문. (2011).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SNS 활용 실태 분석 연구: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75-90.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94523
^ 조형국, & 김화성. (2011).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에 관한 연구: 트위터 현상에 대한 미디어 문화론적 읽기를 바탕으로. 존재론 연구, 26, 343-368.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707892
^ 진창현, & 여현철. (2011). 소셜 미디어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사회문화적 영향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3), 1295-1321.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80443
^ 최진호, & 한동섭. (2011). 정치인 트위터와 신문ㆍ방송뉴스의 의제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gendas between Politicians' Twitters and traditional News Media). 언론과학연구, 11(2), 501-532.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657228
^ 황유선, & 심홍진. (2010).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보, 24(6), 365-404. http://dbpia.co.kr/view/ar_view.asp?arid=1563903

in Emergency events, in risk environment

^ Hughes, A. L., & Palen, L. (2009). Twitter adoption and use in mass convergence and emergency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 6(3), 248-260.
^ Vieweg, S., Hughes, A. L., Starbird, K., & Palen, L. (2010). Microblogging during two natural hazards events: what twitter may contribute to situational awareness.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2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http://dl.acm.org/citation.cfm?id=1753486
We analyze microblog posts generated during two recent, concurrent emergency events in North America via Twitter, a popular microblogging service. We focus on communications broadcast by people who were "on the ground" during the Oklahoma Grassfires of April 2009 and the Red River Floods that occurred in March and April 2009, and identify information that may contribute to enhancing situational awareness (SA). This work aims to inform next steps for extracting useful, relevant information during emergencies using information extraction (IE) techniques.
^ Dunlap, J. C., & Lowenthal, P. R. (2009). Tweeting the night away: Using Twitter to enhance social presenc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20(2), 129-135. http://jise.org/Issues/20/V20N2P129-abs.pdf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2-05-08 14:46:26
Processing time 0.0298 sec